PART 1 REST 1# REST란?"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자원을 이름으로 구분하고 해당 자원의 상태를 주고 받는 모든 것일반적으로 좁은 의미로 HTTP를 통해 CRUD를 실행하는 APIHTTP기반으로 필요한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을 정해놓은 아키텍처 스타일(제약 조건의 집합)웹에 존재하는 모든 자원(이미지, 동영상, DB자원)에 고유한 URI를 부여해 활용 2# REST 특징(제약조건) Server-Client 구조자원(Resource)이 있는 쪽이 Server, 요청을 하는 쪽이 해당 서버에 대한 Client모든 통신은 클라이언트-서버간의 일대일로 연결서버 :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신경 쓰지 않고 제공한 인터페이스에 대한 처리만 담당하여 요청이 들어올 때 그에..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Lisit/btqwrRTG4r5/CJ0CntTPK0CYJeQeEqtOJ1/img.jpg)
HTTP의 동작과정 요청 메시지 => 요청문의 GET부분 : 요청 메서드(GET,POST,HEAD 등) 2. 응답 메시지 => 상태문 : HTTP 버전 , 200 : 상태코드(200OK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음을 의미) => 바디의 내용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index.php 파일의 내요이 포함 HTTP method :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HTTP request method 종류 HTTP Request Method 설명 GET : 데이터 획득 웹 서버에 데이터 전송을 요청 요청한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가져오기만 함(서버의 상태 변경 X) URL에 쿼리 문자열을 이어붙이는 방식 HEAD : 헤더 획득 URI에 해당하는 정보의 전송을 요청, GET과는 다르게 Meta 정보만을 요청 H..
- Total
- Today
- Yesterday
- 보관주기
- 제우스 로그
- php
- 카프카
- docker
- 제우스8
- spring boot
- 주키퍼 없는 카프카
- kafka without zookeeper
- 넥서스 보관주기
- kafka with raft
- API Gateway
- 다중 데이터소스
- 네트워크
- 오블완
- 도커
- s3
- jpa 1차 캐시
- 티스토리챌린지
- AWS
- 쓰레드 변수
- cleanup policy
- 스레드 동기화
- db 두개
- 넥서스 파일 보관주기
- multiple datasource
- 제우스8.5
- cleanup policies
- SynchronousQueue
- volatil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